프로그래밍 실습
프로그래밍 실습
AI 디지털교과서 플랫폼은 별도의 환경 설치 없이 학생들이 직접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실습을 지원합니다.
특히 실행 버튼을 눌러 학생이 스스로 작성한 코드를 직접 실행해 볼 수 있고, 제출 버튼을 눌러 문제에서 원하는 대로 올바른 코드를 작성했는지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1️⃣ 프로그래밍 실습 문제의 구성
AI 디지털교과서 프로그래밍 실습은 크게 아래의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- 실습 환경
- 문제 설명과 지시 사항
- 스켈레톤 코드(실습 문제)
- 채점 코드(실행/채점 파일)
위의 항목을 설정하고 작성하여 학생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래밍 실습을 만들어봅시다.
구성 항목 | 세부 설명 |
---|---|
실습 환경 | 실습 문제를 제작하기 위한 실습의 기반 환경입니다. |
문제 설명과 지시 사항 | 실습의 목표와 해당 실습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 |
스켈레톤 코드 (실습 문제) | 학생들이 코드를 입력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본 코드입니다. |
채점 코드 (실행/채점 파일) | 학생들이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고 채점하기 위한 코드입니다. |
2️⃣ 프로그래밍 실습 추가하기
- 수업 목록에서 실습을 추가하려는 수업을 클릭합니다.
수업 자료 추가
버튼을 클릭합니다.
- 새로 만들기 선택 후, 추가할 자료 유형 중
프로그래밍 실습
과다음
버튼을 클릭합니다.
- *필수 항목인 자료 제목과 실습 유형, 제출 버튼 옵션을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설정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.
설정 | 세부 설명 |
---|---|
자료 제목 | 수업 목록 및 실습 하단에 보이는 자료 제목입니다. |
실습 유형 | 실습의 유형을 설정합니다.
|
제출 버튼 | 학생이 작성한 코드를 채점하기 위해 제출 버튼의 사용 여부를 설정합니다. |
자료 추가 시 설정한 내용은 실습을 만든 이후에도
수업 자료 수정
버튼을 클릭하여 탭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.
3️⃣ 실습 환경 설정하기
실습 유형에 따른 환경 설정 방법은 하단의 링크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️⃣ 문제 설명, 지시 사항 및 해설
프로그래밍 실습 문제에 대한 설명과 지시 사항 및 해설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
- 우측 상단에 있는 수업 자료 수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- 왼쪽 패널의
설명
,지시 사항
항목의 에디터에 문제와 관련된 글을 작성하고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.
- 코드 블럭을 만들면 해당 내용을 복사할 수 있도록
Copy
버튼이 생겨 학생들이 쉽게 코드 블럭 안의 내용을 복사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. - 자주 사용하는 Markdown 문법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.
-
# 자주 사용하는 Markdown 문법
bold : **텍스트**
bullet point : -텍스트
글자 크기 : #텍스트 > ##텍스트 > ###텍스트
코드 블럭 : `텍스트`
여러 줄 코드 블럭 : ```enter 텍스트 enter```
- 해설 탭은 선생님들께만 보이는 기능으로 학생들에게는 표시되지 않습니다.
- 문제의
설명
,지시사항
및해설
을 작성한 후에는 우측 하단의저장
버튼을 클릭하여 내용을 저장합니다.
- 해당 화면은 CLI 프로그래밍을 기준으로 엔트리와 마이크로비트의 저장 방법은 해당 페이지에서 있습니다.
1) 스켈레톤 코드 작성하기
적절한 스켈레톤 코드는 학생들의 코딩을 더 쉽게 해줍니다.
학생들이 코드 작성을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코드 에디터에 적절한 스켈레톤 코드를 미리 작성해 둘 수 있습니다.
- 우측 상단의
수업 자료 수정
버튼을 클릭합니다.
- 우측 상단의
실습 문제 작성
탭 실습 파일 목록에서main.*
파일을 선택합니다.
템플릿을 사용하실 경우 main.py
에 스켈레톤 코드가 작성되어 있습니다.
- 학생들의 코드 작성을 돕는 적절한 스켈레톤 코드를 작성합니다.
- 실습 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기본적으로 학생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스켈레톤 파일을 설정한 후
저장
버튼을 눌러 코드를 저장합니다.
▶️ 기본 스켈레톤 파일 설정하기
학생들이 해당 실습 페이지에 들어갔을 때 기본적으로 볼 수 있는 파일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입니다.
- 우측 상단의
수업 자료 수정
버튼을 클릭합니다.
실습 문제 작성
탭에서 파일 목록 하단의스켈레톤 파일 설정
을 클릭합니다.
- 기본적으로 보이고 싶은 파일의 왼쪽 체크 박스를 순서대로 클릭한 후, 다시 하단
설정
버튼을 클릭합니다.
- 우측 하단
저장
버튼을 클릭합니다.
▶️ 기본 스켈레톤 파일 설정 더 알아보기
- 파일을 클릭하여 폴더 내부에 위치한 파일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- 파일을 읽기 전용으로 만들려면 더 보기 옵션 클릭 후
읽기 전용
버튼을 눌러 줍니다.
- 학생에게 해당 파일을 보이지 않게 설정하려면 체크박스 해제 후 더보기 옵션 클릭 ▶️ 파일숨기기를 클릭합니다.
2) 코드 파일 추가 및 삭제하기
스켈레톤 코드를 작성할 main. py 파일뿐만 아니라 다양한 코드 파일을 추가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.
▶️ 코드 파일 추가하기
- 우측 상단 '실습 문제 작성' 탭에서 파일 목록 상단의 '+'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- 새롭게 생성된 코드 파일의 이름과 확장자를 설정합니다. 예시) model.py, model.R
- 우측 하단 '저장' 버튼을 클릭합니다.
▶️ 코드 파일 삭제하기
- 우측 상단에 있는
수업 자료 수정
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- '실습 문제 작성' 탭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파일 우측의 더 보기(:) 클릭 후 나오는 옵션 중 삭제를 클릭합니다.
- 우측 하단 '저장' 버튼을 클릭합니다.